본문 바로가기
오늘의 부동산 브리핑

아파트 층수 선택, 피해야 할 위험한 층은 따로 있다

by 오늘의 부동산 브리핑 2025. 5. 1.

시작하며

아파트를 선택할 때 "1층과 꼭대기층만 피하면 된다"는 말,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? 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더 복잡한 문제입니다. 기계실 인접층, 필로티 구조 위층, 일조권 사각지대층처럼 겉보기에는 멀쩡해 보여도 살면서 불편함이 쌓이는 층들도 있기 때문입니다. 아파트 구매나 임대 시 후회하지 않는 층수 선택법을 알고 싶다면, 지금부터 소개하는 내용을 꼭 확인해보세요.

 

1. 무조건 피해야 할 층은 따로 있다

(1) 많이 알려진 1층과 꼭대기층의 단점, 다시 보기

아파트에서 흔히 꺼려지는 층은 1층과 꼭대기층입니다. 그 이유는 대부분 알고 있지만, 다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🧱 1층의 주요 단점과 장점 요약

  • 단점
    • 벌레 유입과 습기 문제가 심각함
    • 여름철 곰팡이 발생률은 다른 층의 2배 이상
    • 보안 취약: 침입 범죄의 40%가 1층에서 발생
    • 사생활 보호 어려움
  • 장점
    • 층간 소음에서 비교적 자유로움
    • 엘리베이터 고장 시 불편 없음

🏙 꼭대기층의 주요 단점과 장점 요약

  • 단점
    • 여름철 냉방비 20~30% 증가
    • 옥상 누수 위험 높음
    • 엘리베이터 고장 시 극심한 불편
  • 장점
    • 전망이 좋고, 윗집 소음 없음

(2) 표면적으로는 괜찮지만 실제로 피해야 할 숨은 위험층들

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숨은 문제층은 다음과 같은 층들입니다.

🔧 기계실 인접층의 문제

  • 지하 기계실이나 전기실 바로 위층은 저주파 소음과 진동이 발생
  • 낮에는 모르지만 밤에는 ‘웅~’ 하는 소리가 수면 방해
  • 진동으로 인해 오래 살면 피로도가 누적될 수 있음

🏗 필로티 구조 위층의 문제

  • 1층이 주차장인 구조에서는 2층이 실거주 공간이 됨
  • 겨울철 바닥 냉기가 그대로 올라와 난방비 증가
  • 평균보다 2~3도 낮은 실내 온도, 난방비 최대 25% 더 지출
  • 차량 출입이 잦은 경우 배기가스 유입 우려

🌥 일조권 사각지대층

  • 단지 설계상 인접 동에 가려 햇볕이 잘 안 드는 층
  • 남향이라도 앞 동 위치에 따라 10층 이하 전체가 그림자 지대
  • 습기, 곰팡이, 우울감 등 생활 질 저하 가능성

🚪 엘리베이터 앞 세대의 불편함

  • 엘리베이터 소음 24시간 노출
  •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 높음
  • 흡연 구역이 가까워 담배 냄새 유입 가능성 존재

 

2. 모든 층에는 장단점이 있다, 그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?

층수는 단순히 ‘높다, 낮다’의 문제만으로 접근하면 위험합니다. 층마다 생활의 질을 좌우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이 따릅니다.

📌 아파트 층별 주요 특징 한눈에 보기

층수 범위 주요 장점 주요 단점
1층 층간소음 없음, 엘리베이터 필요 없음 보안 취약, 벌레/습기, 프라이버시 없음
2~3층 고령자 선호, 이동 편함 벌레/소음, 필로티 구조일 경우 바닥 냉기
4~12층 전망, 일조, 통풍 평균적 위아래 층간 소음에 모두 노출
13~20층 전망 좋음, 프라이버시 좋음 강풍, 화재 대피 어려움
21층 이상 프라이버시 우수, 미세먼지 적음 강풍 소음, 자외선 노출 심함

 

3. 꼭 체크해야 할 요소들

단순히 ‘몇 층인가?’ 보다 그 층의 위치와 환경이 중요합니다. 다음 요소들을 반드시 체크해보세요.

🔎 층수 선택 시 꼭 확인해야 할 조건들

  • 건물 구조 확인
    • 기계실, 전기실, 정화조 위치 확인
    • 필로티 구조 여부 및 위층 거주 가능성 체크
  • 일조권 분석
    • 남향이더라도 앞 동 위치에 따라 햇빛 유무가 달라짐
    • 특히 겨울철에는 그림자 지대가 생길 수 있음
  • 위치에 따른 소음
    • 단지 입구, 도로변, 상가 근처 세대는 소음·매연 우려
    • 엘리베이터 앞 세대는 소음과 냄새 노출 가능성 있음
  • 생활 패턴과의 조화
    •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사람은 일조량과 조망 중요
    • 아이 있는 가정은 층간 소음과 안전성 고려 필요
  • 재난 대비성
    • 화재 시 대피 계획, 고층일수록 불리함
    • 엘리베이터 고장 시 계단 이용 가능성도 중요

 

4. 그럼 어떤 층을 고르는 게 가장 나을까?

전문가들이 권장하는 이상적인 층수는 ‘4층~12층 사이’입니다.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일조량, 통풍, 조망 모두 적당함
  • 층간 소음도 상대적으로 덜함
  • 고층보다 바람, 강풍, 진동 걱정 없음
  • 저층보다 벌레·습기·보안 문제 적음

다만, 이는 평균적인 조건이기 때문에, 단지 구조나 생활 패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아이가 있다면 층간 소음이 덜한 1층 또는 탑층도 선택지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.

 

마치며

아파트 층수 선택은 단순히 1층, 꼭대기층만 피하면 되는 문제가 아닙니다. 기계실 인접층, 필로티 구조 위층, 일조권 사각지대층, 엘리베이터 앞 세대처럼 실제로 살아보기 전에는 모르는 문제들이 많기 때문입니다.

결국 중요한 건 층의 높이가 아니라, 그 층의 위치, 주변 환경, 구조적 특성, 그리고 내 생활과의 조화입니다. 아파트를 고를 때는 단순한 공식이 아니라, 현장 확인과 세심한 비교가 필요합니다. 몇 층을 고를까보다 어떤 환경에서 살게 되는지를 중심으로 생각해보세요.